안녕하세요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 서병덕과장 입니다.
오늘은 서울소재 K대학의 교수직으로 계신 권XX님의 시게이트 하드디스크 복구작업 포스팅입니다.
의뢰된 디스크는 Seagate 사의 주력모델이었던 구형 바라쿠다 ST2000DM001 모델로 2TB급 하드디스크로써,
해당 하드디스크는 순수 데이터만 저장 및 보관용도로만 사용되는 Slave연결방식의 하드디스크 였습니다.
초기증상은 하드디스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부팅이 되지 않고 운영체제 로고에서 멈춰버리는 증상이었고,
문제가 있는 이 디스크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순수 OS용 SSD로는 정상적으로 부팅되는 상태였습니다.
강의자료 및 개인자료가 모두 저장되어있는 하드디스크여서 반드시 복구가 필요한 시점이었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저희 데이터세이브 블로그를 보신 후 SNS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통하여 간단한 상담을 받으신 후 직접 방문하여 의뢰하셨습니다.
간단한 하드디스크 진단 결과 별다른 소음은 없었으나 특정섹터부터는 정상적으로 엑세스 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1차적인 진단으로는 CRC ERROR 즉 BAD SECTOR로 판명되었고, 바로 복구작업진행을 요청하셨습니다.

[접수된 시게이트 3.5" 2TB HDD인 ST2000DM001]


[실제로 인식이 되고 있는 상태 디스크정보영역 및 드라이브아이디 정상 출력]
부품손상에 의한 인식불가증상이 아니었기에 별도의 자재를 들여 부품을 교체하는 스왑작업을 생략하고
바로 이미지작업(Dump)을 진행합니다. 만약 BAD SECTOR 증상이라면 바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도 있으나
확실히 BAD SECTOR인지 아니면 작업도중 물리적인 부품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시스템파일 손상에 의한 문제일 수 있으니,
안전한 작업을 위해 복제본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복제본을 만드는 작업을 흔히 이미지작업 혹은 덤프작업이라고 칭합니다.
무턱대고 데이터영역에 바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면 추후 발생될 손상에 의해 복구율이 저조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 데이터세이브 외 전문복구업체들은 해당작업을 무조건 진행합니다만, 복구장비가 없어 일반PC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구율에 상관없이 빨리 작업을 끝냈다고 과다한 복구금액을 청구하는 일부 수리업체 혹은 유지보수업체들이 많습니다.
그 업체들로 인해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해 전문복구업체들 조차 불가나는 경우가 있으니 꼭 피하셔야 하고 주의하셔야 합니다.
헤드맵을 체크한 후 덤프작업을 진행되고 6억섹터 영역에서 시스템파일 손상에 의한 엑세스불가증상이 발견됩니다.
단순 BAD SECTOR가 아니므로 시스템파일에서 별도 수정작업을 통해 정상적으로 엑세스 할 수 있게 직접 컨트롤 해주어야 합니다.

[헤드맵 체크 후 이미지작업 진행 / 이미지작업 도중 단순 BADSECTOR가 아닌 엑세스불가 증상(인식불가) 발견]
단순 BAD SECTOR라면 특정 손상된 부분을 일부 스킵하여 다시 이미지작업을 진행하면 되지만 시스템파일이 손상되어
엑세스가 되지 않으면 최초 손상이 의심되는 영역에서 마지막섹터까지 전 영역을 읽어내지 못합니다.
디스크의 정보들은 볼수있고 엔지니어가 직접 테스트하여 시스템까지 접근 할 수 있는 메뉴에서 수정작업을 진행합니다.
우선 디스크의 Trans Recovery를 진행하여 리소스파일들을 1차로 백업하고, 실제 손상영역인지 시스템파일 손상영역인지
Fork작업을 진행합니다. 엔지니어가 직접 39억섹터 이상을 엑세스 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구장비가 6억섹터에서 39억섹터까지 읽어냅니다.


[Trans Recover 실행 / 하드디스크 리소스 및 모듈정보 시스템파일정보 백업]


[실제 손상된 영역을 찾아내기 위한 Fork작업 진행 / 695,438,943섹터부터 손상된 것 확인 ]
손상된 특정 섹터 695,438,943를 찾아냈다면 Defect addition 메뉴에 입력하여 수정하고
터미널케이블을 통하여 시스템파티션을 초기화 명령어를 넣어 다시 정상적으로 섹터를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전문복구업체가 아니었다면 해당작업에 대해 알리도 없고, 그냥 695,438,942섹터까지 저장된 데이터만 출고해주거나
할 필요도 없는 헤드교체를 해야 한다며 과다한 비용을 청구합니다. 물론 직접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한 업체에 다시 이관하게 됩니다.
전문복구업체를 꼭 선택하고 의뢰하셔야 하는 이유 이제 조금은 아시시라 생각 됩니다.


[시스템파티션 재할당 명령어 입력 후 다시 이미지작업 진행 / 읽어내지 못했던 영역을 정상적으로 엑세스]
작업도중 후반부에서 실제 BAD SECTOR구간이 발생되었습니다. 보시다 시피 중간중간 일부분씩 읽어냈지만,
시스템손상에 의한엑세스 불가증상에서는 어떠한 부분도 얽어내지 못했던 겁니다.
다행히 후반부쪽 영역은 데이터가 없는 부분이기에 복구율에는 지장을 주지 않을것입니다.
39억섹터 전영역을 덤프작업 진행하였는데 후반부 손상 제외한 모든 영역은 덤프작업이 완료됩니다. 복구율은 99%가 예상됩니다.


[35억섹터 부근에서 약간의 손상영역 발견 / 99.9% 이미지작업완료]
모든 복구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추출된 데이터는 약 680GB정도로 강의영상 한개 및 문서파일 3개 손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고 복구결과 리포트를 e-mail로 발송하였고, 고객님께서 직접 방문하여 데이터를 확인하셨으며,
손상파일은 외부로 부터 구할수 있는 파일 혹은 다시 만들수 있는 파일이기에 복구결과에 만족해주셨습니다.
복구된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되었던 4TB급 외장하드에 저장하며 출고하였습니다.

[4개의 손상파일 확인 / 복구작업완료 / 복구율 99%]

대량의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고 편리히게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는 충격에 매우 취약합니다.
갑작스런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해 저장되어있던 데이터들이 손상될 수 있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미디어디스크(Platter)는
자석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성을 가진 물체와는 가급적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특히, 사용상에 문제가 없고 특별히 충격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전조증상이 없이 갑자기 인식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소모품성격의 제품이기에 중요한 데이터는 2중으로 백업하여 보존하시거나 클라우드 혹은 웹하드등의 온라인저장소에 백업 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더 많은 복구작업 포스팅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하여 저희 데이터세이브 카페, 블로그에 방문부탁드립니다.
(주)데이터세이브[데이터팩토리]
부산본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99-1 브라더빌딩 8F / (직)051-807-8838
서울지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77 원효전자상가 6동 1층 51호 / (직)02-794-5777
카페(NAVER) : https://cafe.naver.com/teilerwarserver
Blog(NAVER) : https://blog.naver.com/ck_data/
Blog(NAVER) : https://blog.naver.com/datafactory3
안녕하세요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 서병덕과장 입니다.
오늘은 서울소재 K대학의 교수직으로 계신 권XX님의 시게이트 하드디스크 복구작업 포스팅입니다.
의뢰된 디스크는 Seagate 사의 주력모델이었던 구형 바라쿠다 ST2000DM001 모델로 2TB급 하드디스크로써,
해당 하드디스크는 순수 데이터만 저장 및 보관용도로만 사용되는 Slave연결방식의 하드디스크 였습니다.
초기증상은 하드디스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부팅이 되지 않고 운영체제 로고에서 멈춰버리는 증상이었고,
문제가 있는 이 디스크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순수 OS용 SSD로는 정상적으로 부팅되는 상태였습니다.
강의자료 및 개인자료가 모두 저장되어있는 하드디스크여서 반드시 복구가 필요한 시점이었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저희 데이터세이브 블로그를 보신 후 SNS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통하여 간단한 상담을 받으신 후 직접 방문하여 의뢰하셨습니다.
간단한 하드디스크 진단 결과 별다른 소음은 없었으나 특정섹터부터는 정상적으로 엑세스 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1차적인 진단으로는 CRC ERROR 즉 BAD SECTOR로 판명되었고, 바로 복구작업진행을 요청하셨습니다.
[접수된 시게이트 3.5" 2TB HDD인 ST2000DM001]
[실제로 인식이 되고 있는 상태 디스크정보영역 및 드라이브아이디 정상 출력]
부품손상에 의한 인식불가증상이 아니었기에 별도의 자재를 들여 부품을 교체하는 스왑작업을 생략하고
바로 이미지작업(Dump)을 진행합니다. 만약 BAD SECTOR 증상이라면 바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도 있으나
확실히 BAD SECTOR인지 아니면 작업도중 물리적인 부품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시스템파일 손상에 의한 문제일 수 있으니,
안전한 작업을 위해 복제본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복제본을 만드는 작업을 흔히 이미지작업 혹은 덤프작업이라고 칭합니다.
무턱대고 데이터영역에 바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면 추후 발생될 손상에 의해 복구율이 저조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 데이터세이브 외 전문복구업체들은 해당작업을 무조건 진행합니다만, 복구장비가 없어 일반PC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구율에 상관없이 빨리 작업을 끝냈다고 과다한 복구금액을 청구하는 일부 수리업체 혹은 유지보수업체들이 많습니다.
그 업체들로 인해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해 전문복구업체들 조차 불가나는 경우가 있으니 꼭 피하셔야 하고 주의하셔야 합니다.
헤드맵을 체크한 후 덤프작업을 진행되고 6억섹터 영역에서 시스템파일 손상에 의한 엑세스불가증상이 발견됩니다.
단순 BAD SECTOR가 아니므로 시스템파일에서 별도 수정작업을 통해 정상적으로 엑세스 할 수 있게 직접 컨트롤 해주어야 합니다.

[헤드맵 체크 후 이미지작업 진행 / 이미지작업 도중 단순 BADSECTOR가 아닌 엑세스불가 증상(인식불가) 발견]
단순 BAD SECTOR라면 특정 손상된 부분을 일부 스킵하여 다시 이미지작업을 진행하면 되지만 시스템파일이 손상되어
엑세스가 되지 않으면 최초 손상이 의심되는 영역에서 마지막섹터까지 전 영역을 읽어내지 못합니다.
디스크의 정보들은 볼수있고 엔지니어가 직접 테스트하여 시스템까지 접근 할 수 있는 메뉴에서 수정작업을 진행합니다.
우선 디스크의 Trans Recovery를 진행하여 리소스파일들을 1차로 백업하고, 실제 손상영역인지 시스템파일 손상영역인지
Fork작업을 진행합니다. 엔지니어가 직접 39억섹터 이상을 엑세스 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구장비가 6억섹터에서 39억섹터까지 읽어냅니다.
[Trans Recover 실행 / 하드디스크 리소스 및 모듈정보 시스템파일정보 백업]
[실제 손상된 영역을 찾아내기 위한 Fork작업 진행 / 695,438,943섹터부터 손상된 것 확인 ]
손상된 특정 섹터 695,438,943를 찾아냈다면 Defect addition 메뉴에 입력하여 수정하고
터미널케이블을 통하여 시스템파티션을 초기화 명령어를 넣어 다시 정상적으로 섹터를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전문복구업체가 아니었다면 해당작업에 대해 알리도 없고, 그냥 695,438,942섹터까지 저장된 데이터만 출고해주거나
할 필요도 없는 헤드교체를 해야 한다며 과다한 비용을 청구합니다. 물론 직접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한 업체에 다시 이관하게 됩니다.
전문복구업체를 꼭 선택하고 의뢰하셔야 하는 이유 이제 조금은 아시시라 생각 됩니다.
[시스템파티션 재할당 명령어 입력 후 다시 이미지작업 진행 / 읽어내지 못했던 영역을 정상적으로 엑세스]
작업도중 후반부에서 실제 BAD SECTOR구간이 발생되었습니다. 보시다 시피 중간중간 일부분씩 읽어냈지만,
시스템손상에 의한엑세스 불가증상에서는 어떠한 부분도 얽어내지 못했던 겁니다.
다행히 후반부쪽 영역은 데이터가 없는 부분이기에 복구율에는 지장을 주지 않을것입니다.
39억섹터 전영역을 덤프작업 진행하였는데 후반부 손상 제외한 모든 영역은 덤프작업이 완료됩니다. 복구율은 99%가 예상됩니다.
[35억섹터 부근에서 약간의 손상영역 발견 / 99.9% 이미지작업완료]
모든 복구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추출된 데이터는 약 680GB정도로 강의영상 한개 및 문서파일 3개 손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고 복구결과 리포트를 e-mail로 발송하였고, 고객님께서 직접 방문하여 데이터를 확인하셨으며,
손상파일은 외부로 부터 구할수 있는 파일 혹은 다시 만들수 있는 파일이기에 복구결과에 만족해주셨습니다.
복구된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되었던 4TB급 외장하드에 저장하며 출고하였습니다.
[4개의 손상파일 확인 / 복구작업완료 / 복구율 99%]
대량의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고 편리히게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는 충격에 매우 취약합니다.
갑작스런 충격 혹은 진동에 의해 저장되어있던 데이터들이 손상될 수 있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미디어디스크(Platter)는
자석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성을 가진 물체와는 가급적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특히, 사용상에 문제가 없고 특별히 충격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전조증상이 없이 갑자기 인식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소모품성격의 제품이기에 중요한 데이터는 2중으로 백업하여 보존하시거나 클라우드 혹은 웹하드등의 온라인저장소에 백업 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더 많은 복구작업 포스팅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하여 저희 데이터세이브 카페, 블로그에 방문부탁드립니다.
(주)데이터세이브[데이터팩토리]
부산본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99-1 브라더빌딩 8F / (직)051-807-8838
서울지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77 원효전자상가 6동 1층 51호 / (직)02-794-5777
카페(NAVER) : https://cafe.naver.com/teilerwarserver
Blog(NAVER) : https://blog.naver.com/ck_data/
Blog(NAVER) : https://blog.naver.com/datafactory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