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 서병덕과장 입니다.
오늘은 멀리 전남 광주의 한 디자인소스 개발업체로 부터 복구의뢰를 받게된 씨게이트하드디스크 복구포스팅입니다.
데이터만 저장하는 Slave디스크로 해당디스크가 장착된 PC가 부팅이 안되어 PC유지보수업체에서 출장와서 점검한 결과
이 디스크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아무문제 없이 부팅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종 디자인시안, 소스, 포트폴리오등이 저장된 디스크이기에
복구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한 포털사이트로부터 검색하던 중 저희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를 확인하시게 되었고,
각종 복구사례 및 후기를 확인하시고 유선상으로 문의하시게 되었습니다. 간단한 증상체크와 함께 복구작업이 가능한 상태를 안내해드렸고,
업무상 빠른 작업을 요청하시기에 많이 급하시다면 우편말고 KTX특송으로 보내시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광주송정→용산 KTX로 발송하셨으며, 저희가 직접 용산역 화물센터로 방문하여 해당물품을 수령하고 복구장비로 부터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접수된 씨게이트 3.5인치 ST1000DM003 모델 / 복구장비로부터 Test결과 구동만 될 뿐 전혀 반응없는 상태]
복구장비인 PC-3000E로 부터 기본적인 부분을 테스트하려 했으나, 전혀 반응이 없는 상태이긴 하였으나,
부품손상에 의한 소음(딸깍거림)이 없었고 전원부(PCB)부분의 문제도 아니었기에 터미널케이블을 연결하여,
재할당초기화 명령어를 입력한 후 재시동을 진행하니 매우 느리긴 했지만 디스크 정보를 불러오긴 하였습니다.
디스크드라이브 아이디는 바로바로 출력이 되었으나 디스크SA는 장시간 디스크를 구동한 후 불러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헤드쪽에는 큰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베드섹터가 존재할 것 같은 예상을 하게 됩니다.


[디스크드라이브 아이디는 한번에 출력되었으나 SA는 여러번의 전원재공급과 장시간구동 후 출력되는 상태]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덤프(Dump)작업을 진행합니다. 덤프작업이란 의뢰된 원본하드로 부터 또다른 저장매체에 복제하는 작업으로
의뢰된 디스크에 또다른 문제 및 오작동, 인식불가 외 손상이 발견될 수 있기에 일종의 쌍둥이디스크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데이터를 바로 추출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위험성이 매우높고 추가손상의 우려가 다분한 만큼 다소 시간은 걸리지만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복구율을 높이는 방법이며, 단순 논리적인 손상(삭제, 파티션손상 등)의 증상이다 하더라도
저희 데이터세이브는 저장매체 종류, 용량, 손상증상에 상관없이 100% 이 덤프작업을 진행합니다.
헤드맵을 체크하여 디스크의 헤드가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는지 확인하고 헤드가 정상적으로 구동된다면 폴더구조도 확인을 합니다.


[한쌍의 헤드가 어느 영역을 관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헤드맵체크 / 데이터구조 확인]
데이터구조를 확인한 후 데이터영역만 덤프작업을 진행하려고 시도했으나 특정영역부터 엑세스를 못하기 시작합니다.
얼핏보면 베드섹터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하드디스크가 정말 베드섹터인지 아닌지를 구별하지 못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영역도 베드섹터로 인식하여 읽지 못하는 형태 입니다. 이대로 진행하면 전체섹터를 못읽어내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경우 디스크 모듈정보를 백업 한 후 트랜스리커버 작업을 통하여 최초 손상영역을 찾고 정상영역은 다시 읽어내게끔 Fork작업을 진행합니다.

[특정영역부터 엑세스불가]


[디스크SA(Service Area)로 부터 트랜스리커버리 진행 / 리커버리 진행 전 모듈정보백업]


[Fork 작업 진행 / Fork작업 진행 후 섹터접근 가능]
Fork작업을 통하여 다시 정상적으로 섹터에 접근이 되면 다시 덤프작업을 이어서 진행합니다.
실제로 디스크가 매우 느렸던 이유가 바로 이 문제 때문입니다. 특히나 씨게이트 제품군에서 자주 일어나는 증상이고
헤드교체작업 후에도 해당문제가 발생되어 Fork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전문복구업체들은 해당내용을 알고 있으나 단순복구작업만 하는 유지보수업체들은 그냥 헤드가 손상되어 엑세스를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계속 헤드만 교체하여 엑세스 하려고 시도만 합니다. 실제로 타업체 복구불가건에서 이런 문제로 재의뢰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지작업 다시 진행 / 큰 문제 없이 데이터영역만 덤프작업 완료]
작업시간 3시간 반만에 모든 복구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데이터의 양이 그리 많지 않아 복구작업시간이 단축되었지만 무엇보다 빠른 증상파을 을 통하여 그 증상에 맞는 복구작업을 진행하였기에
데이터에 별다른 손상 없이 완벽수준의 복구작업이 완료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복구된 데이터는 저희가 따로 준비한 백업용하드에 저장하고 고객님께서 원격으로 데이터를 확인하셨습니다.
복구된데이터를 확인하신 후 바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 일부는 메일로 발송하였고, 백업용 저장매체는 안전히 포장하여 택배출고 하였습니다.

[99.9% 복구작업완료]

저희 데이터세이브는 데이터복구 전문업체로써, 저장매체의 용량에 따른 데이터 복구비를 정찰제로 청구하고 있습니다.
똑같이 인식이 안되고 장애가 발생하는 증상이라 하더라도 원인이 다르고 그 원인에 따라 복구작업 방식이 틀려지기에,
복구비용 및 복구과정에 대한 부분을 유선상으로 안내해드리기 어렵습니다.
손상된 저장매체를 저희쪽으로 보내주시거나 직접 방문하여 진단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하며 진단에 따른 비용은 발생되지 않습니다.
복구작업이 불가할 정도로 손상이 심하여 복구를 실패하거나 복구불가시에 발생되는 비용은 없으며, 복구성공시에만 비용을 청구합니다.
복구비용,복구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와 카페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니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주)데이터세이브[데이터팩토리]
부산본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99-1 브라더빌딩 8F / (직)051-807-8838
서울지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77 원효전자상가 6동 1층 51호 / (직)02-794-5777
카페(NAVER) : https://cafe.naver.com/teilerwarserver
Blog(NAVER) : https://blog.naver.com/ck_data/
Blog(NAVER) : https://blog.naver.com/datafactory3
안녕하세요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 서병덕과장 입니다.
오늘은 멀리 전남 광주의 한 디자인소스 개발업체로 부터 복구의뢰를 받게된 씨게이트하드디스크 복구포스팅입니다.
데이터만 저장하는 Slave디스크로 해당디스크가 장착된 PC가 부팅이 안되어 PC유지보수업체에서 출장와서 점검한 결과
이 디스크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아무문제 없이 부팅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종 디자인시안, 소스, 포트폴리오등이 저장된 디스크이기에
복구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한 포털사이트로부터 검색하던 중 저희 데이터세이브 용산센터를 확인하시게 되었고,
각종 복구사례 및 후기를 확인하시고 유선상으로 문의하시게 되었습니다. 간단한 증상체크와 함께 복구작업이 가능한 상태를 안내해드렸고,
업무상 빠른 작업을 요청하시기에 많이 급하시다면 우편말고 KTX특송으로 보내시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광주송정→용산 KTX로 발송하셨으며, 저희가 직접 용산역 화물센터로 방문하여 해당물품을 수령하고 복구장비로 부터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접수된 씨게이트 3.5인치 ST1000DM003 모델 / 복구장비로부터 Test결과 구동만 될 뿐 전혀 반응없는 상태]
복구장비인 PC-3000E로 부터 기본적인 부분을 테스트하려 했으나, 전혀 반응이 없는 상태이긴 하였으나,
부품손상에 의한 소음(딸깍거림)이 없었고 전원부(PCB)부분의 문제도 아니었기에 터미널케이블을 연결하여,
재할당초기화 명령어를 입력한 후 재시동을 진행하니 매우 느리긴 했지만 디스크 정보를 불러오긴 하였습니다.
디스크드라이브 아이디는 바로바로 출력이 되었으나 디스크SA는 장시간 디스크를 구동한 후 불러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헤드쪽에는 큰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베드섹터가 존재할 것 같은 예상을 하게 됩니다.
[디스크드라이브 아이디는 한번에 출력되었으나 SA는 여러번의 전원재공급과 장시간구동 후 출력되는 상태]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덤프(Dump)작업을 진행합니다. 덤프작업이란 의뢰된 원본하드로 부터 또다른 저장매체에 복제하는 작업으로
의뢰된 디스크에 또다른 문제 및 오작동, 인식불가 외 손상이 발견될 수 있기에 일종의 쌍둥이디스크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데이터를 바로 추출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위험성이 매우높고 추가손상의 우려가 다분한 만큼 다소 시간은 걸리지만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복구율을 높이는 방법이며, 단순 논리적인 손상(삭제, 파티션손상 등)의 증상이다 하더라도
저희 데이터세이브는 저장매체 종류, 용량, 손상증상에 상관없이 100% 이 덤프작업을 진행합니다.
헤드맵을 체크하여 디스크의 헤드가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는지 확인하고 헤드가 정상적으로 구동된다면 폴더구조도 확인을 합니다.
[한쌍의 헤드가 어느 영역을 관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헤드맵체크 / 데이터구조 확인]
데이터구조를 확인한 후 데이터영역만 덤프작업을 진행하려고 시도했으나 특정영역부터 엑세스를 못하기 시작합니다.
얼핏보면 베드섹터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하드디스크가 정말 베드섹터인지 아닌지를 구별하지 못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영역도 베드섹터로 인식하여 읽지 못하는 형태 입니다. 이대로 진행하면 전체섹터를 못읽어내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경우 디스크 모듈정보를 백업 한 후 트랜스리커버 작업을 통하여 최초 손상영역을 찾고 정상영역은 다시 읽어내게끔 Fork작업을 진행합니다.
[특정영역부터 엑세스불가]
[디스크SA(Service Area)로 부터 트랜스리커버리 진행 / 리커버리 진행 전 모듈정보백업]
[Fork 작업 진행 / Fork작업 진행 후 섹터접근 가능]
Fork작업을 통하여 다시 정상적으로 섹터에 접근이 되면 다시 덤프작업을 이어서 진행합니다.
실제로 디스크가 매우 느렸던 이유가 바로 이 문제 때문입니다. 특히나 씨게이트 제품군에서 자주 일어나는 증상이고
헤드교체작업 후에도 해당문제가 발생되어 Fork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전문복구업체들은 해당내용을 알고 있으나 단순복구작업만 하는 유지보수업체들은 그냥 헤드가 손상되어 엑세스를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계속 헤드만 교체하여 엑세스 하려고 시도만 합니다. 실제로 타업체 복구불가건에서 이런 문제로 재의뢰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지작업 다시 진행 / 큰 문제 없이 데이터영역만 덤프작업 완료]
작업시간 3시간 반만에 모든 복구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데이터의 양이 그리 많지 않아 복구작업시간이 단축되었지만 무엇보다 빠른 증상파을 을 통하여 그 증상에 맞는 복구작업을 진행하였기에
데이터에 별다른 손상 없이 완벽수준의 복구작업이 완료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복구된 데이터는 저희가 따로 준비한 백업용하드에 저장하고 고객님께서 원격으로 데이터를 확인하셨습니다.
복구된데이터를 확인하신 후 바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 일부는 메일로 발송하였고, 백업용 저장매체는 안전히 포장하여 택배출고 하였습니다.
[99.9% 복구작업완료]
저희 데이터세이브는 데이터복구 전문업체로써, 저장매체의 용량에 따른 데이터 복구비를 정찰제로 청구하고 있습니다.
똑같이 인식이 안되고 장애가 발생하는 증상이라 하더라도 원인이 다르고 그 원인에 따라 복구작업 방식이 틀려지기에,
복구비용 및 복구과정에 대한 부분을 유선상으로 안내해드리기 어렵습니다.
손상된 저장매체를 저희쪽으로 보내주시거나 직접 방문하여 진단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하며 진단에 따른 비용은 발생되지 않습니다.
복구작업이 불가할 정도로 손상이 심하여 복구를 실패하거나 복구불가시에 발생되는 비용은 없으며, 복구성공시에만 비용을 청구합니다.
복구비용,복구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와 카페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니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주)데이터세이브[데이터팩토리]
부산본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99-1 브라더빌딩 8F / (직)051-807-8838
서울지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77 원효전자상가 6동 1층 51호 / (직)02-794-5777
카페(NAVER) : https://cafe.naver.com/teilerwarserver
Blog(NAVER) : https://blog.naver.com/ck_data/
Blog(NAVER) : https://blog.naver.com/datafactory3